
혈관염의 원인 질환과 증상의심증상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동맥 경화

동맥 경화 혈관 질환으로는 혈관염 외에 동맥 경화, 대동맥 해리 등이 있습니다. 동맥경화가 문제가 되는 것은 혈관 협착이나 폐쇄에 의한 특정 장기의 허혈로, 대표적인 질환으로 심근 경색이나 뇌경색이 있습니다.혈관염도 혈관이 협착 폐쇄된다는 점에서 동맥 경화와 약간 유사하며, 혈관염 임상 증상 중 일부는 동맥 경화 증상과 중복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동맥경화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을 참조해 주십시오.
https://blog.naver.com/komeon92/222224267034 지질의 종류 – 콜레스테롤, 인지질, 중성지방 – 콜레스테롤은 간에서 만들어지며 세포막의 구성 성분이나… blog.naver.com
혈관염

혈관염은 혈관의 염증과 손상을 특징으로 하며 혈관내강의 변형과 함께 주위 조직에 허혈을 유발합니다. 혈관염은 여러 부위에 다수의 굵기의 혈관을 침범하기 때문에 광범위하고 다양한 증후군이 발생합니다. 증후군마다 특정 동맥이 침범 당하기 때문에 알아 둘 필요가 있습니다.
혈관염 유발 질환 1. 결절 다발동맥염(PN) 2. 알레르기성육아종성혈관염(AGA, Churg-Strauss 증후군) 3. 베게너육아종증(WG) 4. 과민성혈관염 5. Henoch-Schonlein 자반증(HSP) 6. 측두동맥염(거대세포동맥염 GCA) 7. 족동맥염입니다. 위 표의 17개 질환은 결합조직병인 혈관염이고 810개 질환은 혈관염 증후군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장애를 받는 혈관의 굵기 대동맥염 증후군 중혈관 PN, 가와사키병, 버거시병 소혈관, 모세혈관세정맥 AGA, WG, HSP현미경적 다발혈관염 악성 류마티스 관절류마티스 특발성 한란글로불린혈증각질환에서 침범되는 혈관의 굵기는 대체로 정해져 있습니다. 심장에서 장기나 말초로 갈수록 혈관이 가늘어져요.
혈관염 의심 증상이 많은 혈관염에서는 특유의 임상 증상이나 검사 소견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다음과 같은 증상이나 검사 소견이 있다면 혈관염을 의심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 체중감소, 원인불명의 발열 체중감소를 수반하는 원인불명의 발열은 혈관염 외에 전염성 질환, 악성종양, 결합조직질환 등에서도 나타나는 소견입니다.

2) 급성 복증 장간막동맥에 염증이 퍼지면 급성 복증으로 인한 심한 복통, 하혈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다발성 신경염 신경에 영양을 공급하는 혈관이 손상되었기 때문이며, 두 종류 이상의 신경이 동시에 또는 시간차를 두고 장애를 일으킵니다.
4) 위험인자가 없는 심근경색이나 협심증과 같은 기저질환이 없어 갑자기 심근경색이 발생합니다.

심근 경색
5) 피부궤양, 자반증 피부의 말초순환에 장애가 생기면 피부궤양이 발생하거나 출혈을 동반하여 자반증이 나타납니다.

자반증
6) 고혈압을 동반하는 신부전(신장) 동맥협착으로 고혈압과 함께 급격하게 진행되는 신부전에 이르게 됩니다.상기 증상 외에 심막염, 흉막염, 간질 폐렴, 폐 고혈압, 근육통 등을 들 수 있습니다.
7) 혈관염 의심 검사 소견 혈관염에서는 혈소판(정상 130,000~400,000/))의 증가가 많습니다. 결절 다발 동맥염, 알레르기성 육아종성 혈관염, 베게너 육아종 질환에서는 호산구가 증가합니다.
경희대한방병원 출신 한방이비인후피부과 전문의 조재훈 한의학 박사 진료
